7월 3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정답은 바로 '세계 일회용 비닐봉지 없는 날'입니다. 2008년 스페인의 국제환경단체 '가이아'가 제안해 만들어진 날입니다. 현재 매년 미국, 프랑스 등 외국 시민단체가 동참해 약 40여 개국에서 동시에 실시되고 있습니다. 일회용품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언제부턴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가 되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배달 음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음식용기와 포장재 등 일회용 비닐봉지와 플라스틱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오늘은 '세계 일회용 비닐봉지 없는 날'을 맞아 우리가 흔히 사용하지만 잘 알지 못했던 비닐봉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1. 비닐봉지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지금은 너무 흔하게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봉지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하는 조그마한 의문이 갑자기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물건을 담아 이동하는 수단으로 비닐봉지가 아닌 종이봉투를 사용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종이의 특성상 무거운 물건을 넣었을 때나 물기가 있는 물건을 담아 이동할 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웨덴의 스텐 구스타프 툴린이라는 공학자가 현대의 비닐봉지(plastic bag)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종이봉투에 비해 비닐봉투가 내구성이 있기 때문에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해서 장기적으로 오히려 환경문제를 줄여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우리가 알고 있죠?
2. 비닐봉지는 왜 줄여야 할까?
앞서 얘기한 것처럼 비닐봉지는 처음 개발될 때만 해도 재사용을 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너무 무분별하게 일회용으로 사용하다 보니 환경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이러한 비닐봉지가 환경에 버려져 분해되는 데 최소 10년에서 20년, 최대 1000년까지도 걸린다는 영국 데일리메일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단순히 몇십 년 걸린다고는 알고 있었지만 최대 1000년은 조금 충격적이네요.
또한 비닐봉지의 처리방법은 크게 소각하거나 땅에 매립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방법 다 환경에는 그리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먼저 비닐봉지를 소각할 경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온실가스의 주범이 되어 지구의 온실효과를 가속화시키게 됩니다. 연간 비닐봉지를 소각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274만 톤이나 된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수치가 아닐 수 없습니다.
비닐봉지를 매립하는 방법 역시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비닐봉지가 분해될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은 자연계에 한 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ㅇ낳고 토양뿐만아니라 생물체 내에서도 적게는 수십 년 많게는 수백 년까지 존재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다이옥신은 물에 잘 녹지 않아 소변으로 배설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지방에 잘 녹는 성질 때문에 생물체에 지방조직에 잘 축적된다고 하니 결국은 생태계는 돌고 돌아 우리의 몸속까지 들어오게 되는 것이죠.
3. 미세플라스틱의 역습
미세플라스틱이란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한 때 모회사의 유연제에서 미세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해 크게 화제가 된 적이 있었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비닐봉지가 해양으로 흘러들어 가게 될 경우, 비닐봉지를 먹이로 착각해서 해양생물들이 폐사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단순히 여기서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비닐봉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2차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됩니다. 이에 함유된 독성 오염물질들이 바닷물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2차 오염의 위험성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바닷물이 오염되면 해양생물 오염으로 이어지고 결국 우리 몸으로 들어오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4. 전 세계적인 노력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세상이 발전하면서 인간은 더욱 더 편한 방법으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일회용품의 발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가 구매하는 거의 대부분은 플라스틱이나 비닐봉지와 같은 일회용품에 포장되어 판매가 되죠? 이러한 일회용품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자, 해외 곳곳에서는 포장지가 아예 없는 마켓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독일의 Original Unverpackt 가 포장지 없는 슈퍼마켓으로 유명하죠?
또한 1993년 덴마크에서 세계 최초로 비닐봉지에 세금을 부과하기도 했습니다. 2002년에는 방글라데시에서 세계 최초로 비닐봉지 금지 조치를 실행에 옮기기도 했습니다. 2009년에는 유엔 환경계획(UNEP)에서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 금지를 촉구하였고, 2017년 케냐에서는 최대 징역을 받을 수 있는 강력한 비닐봉지 금지법을 실행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도 1999년 일회용 비닐봉투 유상 판매제도를 도입하여 지금까지도 유지하고 있죠? 2025년까지 전체 포장 용기 중 플라스틱 비율을 38% 줄이고 플라스틱 배달 두께를 제한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또한 2030년까지 모든 업종에서 비닐봉지와 쇼핑백 사용을 금지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개인적으로는 어떤 노력을 해야할까?
7월 3일을 세계 일회용 비닐봉지 없는 날로 지정한 만큼 일회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큰 변화를 일으키려는 노력보단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소소한 행동부터 변화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습니다. 기업은 과대 포장과 이중 포장 등을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하며, 소비자는 장바구니나 에코백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작은 노력이 모여 큰 성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세상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혜택 알고 신청하세요. (0) | 2022.07.08 |
---|---|
고금리 예금 추천 전북은행 JB 123예금 연 3.6% 골드바 10돈 행운까지?(feat.예상이자) (0) | 2022.07.05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1분기 신청시작, 대상 지급시기 누리집 총정리 바로 지급받으세요 (feat. 문자스미싱) (0) | 2022.07.04 |
2023 최저임금 최저시급 9620원 주휴수당 조건 계산방법 모르면 나만 손해 (0) | 2022.07.01 |
2022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신청방법 신청기간 확인하고 이자 받아가세요. (0) | 2022.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