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관련 도서리뷰

50대에 도전해서 부자되는 법 꿈꾸는 서여사 서미숙

by 경제맘 2022. 5. 24.
반응형

 찜질방 이모가 25억 자산가가 될 수 있을까? 불가능해 보이는 그 꿈을 현실로 이뤄낸 50대의 어느 평범한 아줌마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담긴 책이 바로 <50대에 도전해서 부자 되는 법>이다. 꿈꾸는 서 여사라는 닉네임으로 블로그를 운영 중이신 서미숙 작가는 자신이 부자가 되기로 결심한 이유부터 자산을 어떻게 축적해나갔는지 이 한 권의 책에 풀어내고 있다. 

 미술학원 원장이었던 서미숙 작가는 하루가 다르게 빠져나가는 원생들을 보면서 더이상 학원 운영이 힘들 거란 판단을 내리게 된다. 생계는 유지해야 했기에 찜질방 매점 직원을 뽑는다는 공고를 보고 바로 지원해 찜질방 이모로써의 삶을 살아가기 시작했다. 맞벌이 생활에도 불어나지 않는 자산과 두 아이들의 뒷바라지, 준비되지 않은 노후를 생각할 때면 숨이 막혔고, 찜질방에서 일하면서 자존감까지 떨어지고 있었다. 불행 중 다행이라고 해야 될까? 코로나로 인해 찜질방 인원 감축을 하면서 일자리를 잃게 된 서미숙 작가는 그때부터 부자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누구보다 빠른 판단력과 실행력으로 단기간에 부를 축적한 서 작가의 노하우는 다음과 같다. 

 

 1. 새벽기상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이 아침을 일찍 깨운다는 것을 책을 통해 배운 서작가는 부자가 되기로 결심한 그 순간부터 새벽 4시 기상을 단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고 한다. 처음에는 일어나기도 힘들고 일어나서도 꾸벅꾸벅 조는 날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새벽 기상으로 인해 자기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만끽할 수 있게 되었고, 차츰 그 시간을 계획성 있게 사용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2. 독서

 세계 부자들의 공통점은 다독을 한다는 것이다. 빌 게이츠는 바쁜 일정 속에서도 독서할 시간을 따로 마련해 놓을 정도로 독서광이라는 것은 익히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서미숙 작가도 자기 계발서와 경제경영서를 1년에 150권 이상 읽을 정도로 한 분야에 대해 열심히 읽었다. 그러다 보니 돈의 속성과 경제의 흐름, 그리고 부동산 등에 나름 인사이트가 생겨나기 시작했고, 어떻게 자산을 축적해나가야 할지 방향성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한다. 

 

3. 글쓰기

 처음에는 무작정 책을 읽다가 자신의 이야기를 블로그에 글로 남기기 시작하면서 이웃과 소통을 시작했다. 그러면서 주부로써 자신이 자신 있었던 식비 예산 줄이기, 가계부 쓰기 등의 노하우를 공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꾸준히 블로그에 글을 올려 방문자 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이웃과 함께 하는 '7만 원으로 일주일 살기'와 같은 콘테츠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또 하나의 파이프라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한다.

 

 

4. 부의 파이프라인 늘리기 

 이 책에선 자산을 늘리기 위한 여러 가지 파이프라인 늘리는 방법을 소개한다. 핸드폰 하나로 할 수 있는 앱테크부터 전자책, 부동산 등에 대해 자신이 경험하고 실행했던 방법들을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서미숙 작가는 혼자서 하기 어려운 분야는 그 분야에 대해 공부하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의 모임과 만남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말한다. 본인 역시 부동산 임장을 다닐 때 부동산 모임을 만들어 한 달에 2번 정도 같이 임장을 다니면서 자신이 보지 못하거나 알지 못했던 부분까지도 보고 배우는 능력이 생겼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꿈꾸는 서 여사가 단기간에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실행력'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경제경영서나 자기 계발서를 한 번이라도 읽어본 사람이라면 부자들이 어떻게 부자가 될 수 있었는지 알 것이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것을 실행하지 않으면 그건 생각에 불과하다. 그런 면에서 꿈꾸는 서 여사는 독서를 통해 얻은 지혜를 그냥 머릿속에 담아놓지 않고 바로바로 실행하면서 자신에게 체화시켰고, 그렇게 부에 한걸음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서 작가님을 통해서 다시 한번 깨달으면서 미친 실행력을 본받아야겠다고 나 자신에게 다짐하는 책이었다. 

 

 

반응형

댓글